한국 재벌 대기업의 모자 상장



흔한 한국 재벌기업의 지배구조.
모자상장 구조로 되어있다.
오너일가>지주회사>사업회사로 지배하는구조로
지주회사가 사업회사를 지배하는 구조는 한국기업이나 외국기업(ex 소니,알파벳)마찬가지지만 한국기업의 경우
지주회사와 사업회사 둘 다 증시에 상장되어있음

지주회사에 경우 높은 할인율이 적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삼성물산의 삼성전자,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가치는
각각 약 21.5조 24.5조원으로
삼성물산 시가총액보다 크다 (현재 20조 4,522조원)
삼성물산은 상사,건설,패션,리조트 등 사업회사의 역할도 하지만
다른 지주회사들은 사업내용이 지분만 들고있는 지주회사 역할만 하는 경우가 많음
![]()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원래는 LG화학의 배터리 사업부였는데
사람들은 LG화학의 석유화학이나 소재사업이 아닌
배터리를 보고 투자하는것이였음
하지만 배터리 사업부를 분사하여
LG에너지솔루션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배터리를 보고 LG화학에 투자한 사람들은
큰 낭패를 보게됨
오너입장에서는 주가가 오르는것보단
지배력이 강화되는것이 더 중요하기때문에
지주회사의 주가를 신경쓰지않음
다른나라도 물적분할이 있지만
인적분할을 하거나 물적분할을 하더라도
상장을 하지않은 경우가 많음
영국이나 미국 등 국가들은 모자상장이 거의 없고
(알파벳은 상장되어있지만 구글은 비상장)
![]()
![]()
일본이 모자상장 비율
6.1%(2018년 기준)정도로 세계적으로 봐도 많은편인데
일본 내에선 오야코상장이라고 비판을 많이 받음
시장에 공개되어있는 지분을 완전히 사들여 NTT가 NTT도코모,이토추상사가 패밀리마트를 자회사화한거처럼
일본조차 모자상장이 줄어드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