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ESS보다는 자동차용 전지 실적에 주목해야 한다”

“삼성SDI, ESS보다는 자동차용 전지 실적에 주목해야 한다”

0 6758 0 달빛시계

“삼성SDI, ESS보다는 자동차용 전지 실적에 

주목해야 한다”


  • • 3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 • 자동차용 전지의 본격적인 성장에 주목
 

한화투자증권은 4일 삼성SDI에 대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인한 우려는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다. 

이순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SDI의 3분기 매출액은 2조7000억원, 영업이익은 1929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소형전지에서는 전동공구 시장의 성장이 다소 둔화되고 있고, 중대형 전지에서는 ESS 사업자들의 불안심리 작용과 REC(Renewable Energy Credit,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현물 가격 급락으로 인해 ESS 수요가 기대만큼 회복하지 못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순학 연구원은 “전자재료 사업은 편광필름 출하량이 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공급 증가로 인해 견조한 실적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하반기부터 자동차용 전지의 성장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폭스바겐, BMW 등 주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고객들의 신차가 출시되고 있고, 헝가리 공장이 가동되면서 3분기 자동차용 전지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출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영업적자폭도 확연히 감소하고 있어 내년 중반 정도에는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4분기 실적은 자동차용 전지의 성장과 ESS 회복이 기대됨에 따라 매출액 2조9000억원, 영업이익 2507억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최근 ESS 화재 재발과 동사의 3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해 주가가 10% 가량 조정받았다”라며 “ESS 화재가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자극한다는 측면에서는 부정적이지만, 4분기부터는 중대형전지에서 자동차용 전지 매출 비중이 3분의 2를 차지함에 따라 ESS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향후 관건은 자동차용 전지 매출 증가에 따른 손익 개선 속도이므로 ESS 관련 우려는 단기에 그칠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반도체 업황도 4분기를 저점으로 내년도부터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자재료 부문의 실적 기여 향상도 기대해 볼만 하다”고 지적했다.






, ,

신고


0 Comments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