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 없다고 했는데.." 신안은 '감옥'이었다

"노예 없다고 했는데.." 신안은 '감옥'이었다


어제(20일) 저희가 단독으로 전해 드린 전남 신안 염전 강제 노동 피해자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지난 2014년과 2021년 두 번의 염전노예 사태가 불거지자 해당 지자체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형식적일 뿐 허점 투성이었습니다.

장 씨는 자신이 언제 염전에 들어왔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합니다.



 

중증 지적장애인으로 의사 표현조차 쉽진 않은 그에게 염전은 감옥과 다름없었습니다.

 



지난 2014년 '염전 노예' 사건 당시 피해자의 75%는 장애를 지닌 경우로 확인됐습니다.



신안군은 2021년 강제노동 사건이 또 터지자, 전담 공무원이 '1:1'로 염전 노동자를 관리하겠다고 했지만, 
형식적일 뿐이었습니다.





현장에 나가도 심리적으로 염전주에게 예속된 노동자들에게 급여 지급과 폭행 여부 등을 물어보는 수준에 그쳤다는 겁니다.
 




장 씨에게도 2022년 전담 공무원이 배치됐지만 피해 사실은 파악되지 못했습니다.



지난 4월 미국 정부가 신안 천일염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리자, 신안군은 2021년 이후 대책을 강화해, 

단 한 건의 불미스러운 일도 없었다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장 씨를 포함해 5건의 피해 의심 사례를 수사 의뢰한 상태였습니다.





전라남도도 지난해 관내 염전 노동자 153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임금 체불이나 폭행, 착취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2014년 '염전 노예' 사건 당시 공식적으로 확인됐던 피해자 63명에 대한 추적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신고
SNS 공유하기

  Comment

BEST 1 신촌인  
경찰, 공무원, 주민 대부분이 친인척인 지역이니 어리숙한 타지인을 공동 노예 삼는건지도.


2 Comments
신촌인  
경찰, 공무원, 주민 대부분이 친인척인 지역이니 어리숙한 타지인을 공동 노예 삼는건지도.
로그  
노예는없지만 죄수는있고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