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사투리 중 가장 이질적인 지역 사투리

육진 방언.
다른 지역은 남도/북도 사투리로 나뉘는 한편, 함경도 사투리는 남도/북도/육진으로 나뉩니다. 육진 방언은 아예 다른 사투리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죠.
육진은 세종대왕이 개척한 4군6진 중 6진 지역입니다. 함경북도 최북단이죠.
이 지역은 서울에서 제주도보다도 훨씬 멀고, 칭다오와의 거리와 맞먹습니다. 거리가 멀고 오지라서 표준어의 영향력이 적고 타 지방과 사투리에서 이질성이 강해졌습니다. 그래서 옛 한국어의 흔적을 가장 많이 간직하고 있기도 합니다.
육진 방언의 가장 큰 특이점은 ‘~요’ 어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랬슴까?’ ’아이 했슴다’ ‘니 어데갔니?’ 등등.
육진과 접한 지역이 연변이기 때문에 조선족 사투리는 이 육진 방언을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자주 듣는 조선족 말투가 이 육진 방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면 됩니다.
탈북자가 워낙 많은 지역이라 21세기에는 한국에서 인식하는 북한말의 이미지가 평양말이 아닌 이곳 육진방언인 경우가 많죠.
0 Comments
/var/www/issuya.com/skin/board/issuya/view/tto_basic
지금 뜨고있는 이슈
11
7338
0
6153
7
5194
7
3943
4
3770
3
2530
2
2279
0
2239
4
2144
4
2081
3
2058
0
1989
3
1984
1
1785
2
1702
0
1574
1
1496
1
1256
0
666
Today
pick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hit
[rank] => black
[term] => day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date] => 1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comment
[rank] => black
[term] => week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 +3 10.25 1 생각보다 한국인들이 엄청 좋아하는 스포츠
- +3 10.26 2 현재 반응 안좋은 '나는 솔로' 영숙 발언
- +3 10.25 3 김천김밥축제 깨끗한 김밥공장 공개
- +3 10.25 4 여자친구가 나보고 사이코패스래
- +3 10.25 5 소아과에 아이 데리고 온 아빠 특징
- +2 10.25 6 면세품을 많이 구입한 자의 흔한 결말
- +2 10.25 7 결혼시 1억 해오라는 남자친구
- +2 10.25 8 이순신 영화가 현실고증 못하는 이유
- +2 10.25 9 서울 지하철 기관사들의 고충
- +2 10.25 10 레딧에서 난리난 야생 숫사자 외모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1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color
[sort] =>
[rank] => darkred
[term] =>
[dayterm] => 3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