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5년 조선시대 학자도 조롱하던 지구 평평설

우리나라는 이 개천설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태조 4년 제작
하늘을 12등분한 후 1,467개의 별들을 점으로 표시하였다.
이 그림을 통해 해, 달, 5행성(수성, 금성, 토성, 화성, 목성)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절기를 구분할 수도 있다.

태조 4년(1395)에 제작된 이 석각 천문도는 중국 남송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해당 석상에는 당시 제작한 사람들의 이름과
조선학자 권근이 쓴
여기서 혼천설은 이런느낌이고

개천설은 이런 느낌이다

그리고 조선의 학자 권근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이렇게 적었다.
“전통적으로 우주관에는 6가지가 있는데
전통적 우주관은 혼천설이 옳고,
개천설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개천설을 포함한 나머지 5가지는
본받을 이론이 못 된다.”

혼천설은 비록 천동설 기반 이지만
정교한 달력제작이나 천체운동을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왜…21세기에

0 Comments
/var/www/issuya.com/skin/board/issuya/view/tto_basic
지금 뜨고있는 이슈
5
10641
7
7994
3
3624
4
3444
4
3187
4
3086
0
2957
0
2278
1
1937
0
1895
0
1833
1
1684
0
1661
0
1533
1
1405
0
1372
0
1063
1
1000
0
803
0
668
Today
pick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hit
[rank] => black
[term] => day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date] => 1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comment
[rank] => black
[term] => week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 +7 10.11 1 8년 차 교사가 느낀 요즘 고딩
- +6 10.13 2 한 캄보디아 교민의 이번 이슈에 대한 생각
- +6 10.12 3 대한민국 현재 상황
- +5 10.12 4 암컷말과 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하는 어느 디시인
- +5 10.13 5 [속보] 트럼프, 노벨평화상 수상
- +4 10.13 6 감기걸렸을때 경상도 엄마들이 해준다는 음식
- +4 10.15 7 속옷 브랜드 BYC 근황
- +4 10.13 8 기나긴 추석 연휴가 지나고 출근한 직장인들 모습
- +4 10.12 9 지방 매매혼 진짜 심각하네요...
- +4 10.15 10 제주 성산일출봉에서 마약 66만인분 발견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1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color
[sort] =>
[rank] => darkred
[term] =>
[dayterm] => 3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