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에서 MBK 사모펀드가 욕먹는 이유 총정리

1. MBK가 홈플러스 명의로 인수 금액 대다수를
대출 받는 LBO 방식으로 인수를 했음
해외에서는 각종 안좋은 사례가 많아
인수 대상 기업의 자산을 일정 이상 담보 삼아 대출 못하게
어느정도 규제가 생겼지만
국내서는 관련 규제가 없었기에 가능했음
홈플러스가 MBK 인수 이후로 겪은 재정난의 원인은 다 저기서 시작됨

2. 홈플러스가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의 가치가
MBK가 인수했던 금액의 가치보다 높기에
지점 영업 이익률 상관없이 계약 기간 끝나면 자연스럽게 폐점 + 부동산 매각 절차 시작함
장사 잘 되는 홈플 지점들이 지속적으로 문닫으면서 홈플 재정 지표는 당연히 박살남

3. MBK는 이런 와중에 홈플러스 부동산을 담보로 또 대출 받음
MBK가 급전이 필요해서 본인들의 자산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빡센 조건(특히 홈플러스 보유 부동산 강제 매각 권리)으로 급하게
대출을 받았다고 함 ㄷㄷ;
그런데 금융권 분석에 따르면 메리츠 측에 일정 금액 상환이 힘들어 보이자
바로 회생런 때린거 아니냐는 추측이 많은 상태.

4. MBK 관련해서 꾸준히 제기되는 경영 능력
2010년대 이후로 이놈들 손 거친 국내 기업 대부분이 재정 박살나서 헐값에 매각되거나
악성 재고 수준으로 몰락해버려서 매각이 안될 수준으로 값어치가 떨어지는게 부지기수
사모펀드 주요 목적 중 하나가 기업 재매각을 위한 기업가치 뻥튀기라는걸 생각해보면...

5. 오래전부터 계획된 회생 절차
홈플러스 사태 관련해서 금감원 조사 결과, MBK 측에서는 이런 이슈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으나
오래전부터 기업 회생 절차를 기획해온 증거를 발견해서 현재 검찰에 이첩한 상태라고 함
금감원 조사에 따르면
MBK측이 사전에 신용등급이 떨어질 것을 알고 있었는데도
단기채권, 대출을 받아서 돈 땡기는 부정거래 한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한 상태
다른 기업 사모펀드와 비교해서
홈플러스 관련해서는 MBK가 계속 욕처먹는데
자유 시장 어쩌구
규제 어쩌구 하는 사람이 아직도 좀 있어서
욕먹는 이유 대충 정리해봄 ㅇㅇ
유럽과 미국에서 괜히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인수 대상 회사의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LBO 방식 규제하려는게 아님

- +9 05.11 1 요즘 MZ식 술자리 근황
- +9 05.13 2 이번에 일본에서 만들어진 개쩌는 기술
- +8 05.12 3 너구리에 계란 넣어 먹는다고 고백하는 아이들 미연
- +8 05.11 4 일부 무신론자들이 유독 긁히는 말
- +7 05.12 5 정신과의사가 분석하는 캣맘
- +7 05.11 6 '1박에 6만원' 충격적인 울릉도 숙소
- +6 05.12 7 내년부터 키오스크 설치 안하면 과태료 최대 3000만원
- +6 05.10 8 영화 '달콤한 인생' 이병헌 식사 장면
- +6 05.10 9 '6.25 전쟁 최후 저지선'
- +6 05.10 10 이번에 컴백한 '패왕색' 현아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