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5만원에 "서운한 것 있냐" 면박

축의금 5만원에 "서운한 것 있냐" 면박

1 2439 2 모에모에큥




직장 선배 결혼식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가 “내가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는 면박을 들었다는 직장인의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의 ‘적정 액수’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19일 소셜미디어(SNS) 등에 따르면 자신을 사회초년생이라고 소개한 글쓴이 A씨는 최근 온라인상에 ‘어제 선배 결혼식 축의금 5만원 냈는데 제가 잘못한 것인가요’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글에 따르면 A씨는 최근 직장 선배 결혼식에 참석하며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

A씨는 “선배가 ‘5만원을 낸 것이 맞냐. 내가 네게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고 말했다”며 “바쁜데도 시간을 내서 가줬더니 이런 소리를 하는 게 맞느냐”고 적었다.

A씨는 “결혼할 때 (그 선배를) 부를 생각도 없다”면서도 “재직 중인 회사가 작은 곳이라 참석하지 않기는 무리라고 생각돼 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티즌은 “요즘 식사비만 해도 5만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 축의금은 10만원이 기본이라고 하더라”며 “5만원 내고 밥 먹고 가면 되레 마이너스다. 회사 동료에게 너무 박한 게 아니냐”고 적었다. “결혼식에 참석하면 10만원, 참석하지 않으면 5만원을 내는 것이 사회 통념”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반면 결혼 당사자가 직접 선택한 ‘비싼 밥값’을 하객에게 전가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 네티즌은 “누가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등 떠민 것도 아니다. 결혼식 목적이 돈 수금이냐”고 꼬집었다.

 

KB국민카드가 지난해 10월 고객 패널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축의금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3%가 ‘알고 지내는 사이(지인)’에게 5만원 이하를 낸다고 했다. 5만~10만원은 44%, 10만~20만원은 2%였다.



신고

  Comment

BEST 1 환골탈태  
요즘은 회사 직원은 참석하면 10 만
안가면 5만이 대세인듯


1 Comments
환골탈태  
요즘은 회사 직원은 참석하면 10 만
안가면 5만이 대세인듯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