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우월함을 알아보자

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우월함을 알아보자

2 7667 5 발라리안

보통 인간을 말할 때

단단한 가죽이나 날카로운 손발톱, 날개나 지느러미가 없지만

오직 지혜로 만물의 영장으로 거듭난 존재라고 말을 한다.

물론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뇌 용량이 크긴 하지만

과연 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진화가 오직 이것 뿐일까?

사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생물학적으로 엄청나게 진화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1. 직립보행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 거듭나게 한 일등공신

지구 상에 두 발로 주춤거리며 걷거나, 혹은 두 발에 의지하여 콩콩 뒤듯 움직이는 존재는 많지만

직립하여 두 발로 걷는 종은 인간이 유일무이하다.

직립보행의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제일은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것.

사족보행을 하는 침팬지와 비교했을 때, 같은 거리를 움직여도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은 에너지를 4분의 1밖에 활용하지 않는다.

즉, 최소 에너지로 최대 효율을 낼 수 있는 보행방법을 우리는 진화상으로 터득한 것이다.

2. 손

직립보행을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 거듭나게 했다면

이 손은 만물의 영장의 자리를 완성시킨 인간의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가진 뼈의 4분의 1이 몰려있을 정도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손 1센티 정도에 신경종말이 천여개 정도 몰려 있어 굉장히 예민하다.

인간이 손으로 무언가를 쓱 훑는 것만으로도 온도/촉감/상태 등을 짐작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

이를 바탕으로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노동을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구를 사용하는 유인원이 있지만, 그들의 행동이 인간에 비해 어설퍼 보이는 것은

그들의 손은 인간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게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

자신의 신체 일부분을 진화시켜 감각이나 공격용으로 사용하는 동물은 많지만

인간만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게금 진화시킨 동물은 없다.

3. 땀

이게 왜 진화의 산물인가? 싶지만

지구상에 땀을 흘리는 동물은 사실 별로 없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일부분만 땀을 흘리며, 그것도 몸 전체로 땀을 흘리는 종은 인간이 유일하다.

다른 동물은 몸에 열을 받으면 입으로 열을 뿜어내는 공냉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인간은 몸으로 직접 물을 뿜어서 몸의 열을 내리는 수냉방법을 사용한다.

수냉방법인 땀은 다른 동물보다 인간의 온도를 빠르게 내려서

인간의 신체가 항시 같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래서 인간은 더울 때 다른 동물보다 빨리 회복하고, 오래 버틸 수 있다.

그리고 땀샘은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해독작용을 해서 인간이 병에 걸렸을 때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인간의 손에서는 항상 땀이 촉촉하게 분비 되는데

이는 무언가를 잡을 때 물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돕는다.

4. 지방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살이 찌기 쉽고, 살을 빼기 어렵다.

지금에 이르러서는 이게 굉장한 단점이 되었지만,

까마득한 먼 옛날에는 이게 엄청난 장점이었다.

다른 유인원들의 체지방률은 10% 정도지만

인간은 20~40%. 몇 배나 높다.

그것은 인간이 같은 음식을 먹어도 몸에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

위기 상황에 처해도 오래 버틸 수 있게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다른 동물들은 픽픽 죽어나갔지만

인간은 몸에 있는 지방으로 오래 버텨내며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5. 미각

인간의 미각은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이다

무려 200여가지의 맛을 간파할 수 있다.

다른 동물들은 미각이 둔한 편이며

몇몇 동물들은 아예 고기 맛이라는 것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인 미각을 가지고 있어서

자신에게 독이되는 것/득이되는 것을 쉽게 간파해 야생 상태에서 오래 살아남도록 돕는다.

(마땅한 짤이 없어 대체)

6. 번식

인간은 다른 포유동물과 달리 번식기가 따로 없다.

즉, 언제라도 번식할 수 있으며 자식을 볼 수 있다.

번식기가 따로 나뉘어 있는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이는 엄청난 이점인데

때의 구분 없이 번식해서 다른 동물들보다 수적 우위를 내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컷(남자)의 경우 사춘기가 지나면 매일 매일 정자를 새로 만들 수 있고

매일 원한다면 발정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종족의 수를 늘려 종의 보존을 꾀하는 생물의 관점에서는 엄청난 진화라 할 수 있다.

즉,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에너지를 쉽게 저장할 수 있고, 최소 소비로 최대 효율을 낼 수 있고

뛰어난 온도 조절과 해독 작용, 끈질김을 가졌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노동을 수행하는 신체 부위를 소유하고

식량의 미세한 구분까지 간파할 수 있는 신체구조와

언제라도 번식해서 쪽수를 불릴 수 있는 진화를 하였기에

지금의 이 자리에 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인간이 이런 진화를 손에 넣은 끝에...

지금까지 수 많은 종을 멸종시키며

착실하게 지구를 아작내고 있다

인간 만세!

신고

  Comment

BEST 1 나이땈  
번식기가 없다니!!!


2 Comments
7월바람  
만세!!!
나이땈  
번식기가 없다니!!!

럭키 178 포인트!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