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산 2030 청년들 특징

요즘 부산 2030 청년들 특징

3 9129 6 릅갈통


 

과거 90년대 - 2000년대 초반 

영화나 드라마 흔한 클리셰 중 하나는 

지방 청년들이 서울을 선망해 상경해서 

63빌딩이나 서울역 배경으로 

의지를 불태우곤 하던 장면이 종종 나오곤 함 

과거 지방청년들의 상경 = 서울에 대한 선망, 욕망 

이렇게 보던 시각이 많았고 

당시 신문, 방송에선 당시 세태를 

청년들의 허황된 인식으로 여겨 준엄히 (?) 비판하곤함 

 


 

과거 드라마나 영화보면 서울에 환장한 

서울병 걸린 캐릭터들 꼭 등장하곤함

 




하지만 이젠 상황이 달라짐

올해 초 부산 상의에서 

부산 2030 청년들을 상대로 조사해보니 

서울 등 수도권 희망은 8%에 불과했고 

연고지인 부산에 정착하고 싶단 의견이 

무려 77.5%에 달하는 걸로 나타남 

심지어 중소기업이라도 

임금만 조금 더 주고 복리후생만 괜찮으면 

부산에 남아 일하겠단 의견이 69.5%로 나타남 

 



비단 부산 청년들뿐만 아니라 

부산 연구원에서 영남권 전체로 조사해보니 

영남 청년 75%가 일자리만 있으면 

부산에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함

 


 

즉 예전처럼 서울에 대한 선망으로 상경이 아니라 

희망 수준에 맞는 임금, 일자리가 없기때문에 

부산을 떠나다는게 지배적인 분석 

즉 서울이 좋아서 오는 옛날과 달리

먹고 살기위해 올라온다고 보면 좋을듯함 

 

 


 

실제로 월급 33만원만 더 주면 

남는단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함 

오죽하면 부산에서 기업들을 대변하는 

부산 상의에서도 지역 임금 구조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정도

그래서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 기업들의 급격한 임금인상보단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기업들 유치, 육성을 위한 

과감한 인센티브, 지원등을 할 것을 제안함 

 




실제로 지역 언론들뿐만 아니라 

중앙 언론에서도 부산 임금수준이 너무 낮다며 

여기는 좀 올릴 필요가 있다고 할 정도 

실제로 급격한 임금인상을 회의적으로 보거나 

반대하는 쪽에서도 부산쪽은 

임금 수준이 심각하다며 (?) 개선이 필요하다고 함 

 


 

정부나 부산시도 이걸 모르는게 아니라 

산업은행 등 금융공기업 이전을 강행하고 

외국계 금융사 유치에 사활을 거는 것도 이런 맥락 

즉 금융산업 = 좋은 일자리 이 공식이니 

부산에 금융을 키우겠단 소린데 

실제로 홍콩이 사실상 중국화 단계 접어들면서 

몰락의 수순을 밟고 있고 

자본, 기업들이 대거 이탈하는 가운데 

부산에도 극소수지만 오고 있는 형국이긴함 

(100개 중 90개가 싱가포르가 넘어가고 

 나머지 10개 가지고 나눠먹는 상황이지만 ㅠ) 

 




비단 금융쪽만 아니라 물류, IT 중심으로 

기업, 자본 유치에 사활을 걸고있는 상황임 

실제로 올해만 3조원 투자 유치 성과가 있다고 발표됨 

다만 체감도를 확 높이기 위해선

괜찮은 (?) 제조업, 물류업 유치가 관건으로 

이 부분에 대해 좀더 노력해야한단 주문이 많고 

특히 입지 부족, 교통개선 등이 보완점으로 거론중 

실제로 부산 가려다 부지 없어서 

수도권, 충청권, 해외로 넘어간 케이스도 있음 



신고

  Comment

BEST 1 일상다반사  
[@내숭쟁이] 부산 택시 기사님들 ㄹㅇ 이니셜디 타쿠미급


3 Comments
코코아마이쩡  
부산은 운전하기 최악임
내숭쟁이  
[@코코아마이쩡]
적응만 하면 전국어디서라도 여유있게 하는 쌉고수됨

럭키 33 포인트!

일상다반사  
[@내숭쟁이]
부산 택시 기사님들 ㄹㅇ 이니셜디 타쿠미급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