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의 800억 적자라니” 티빙 ‘어쩌다’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대박이 나도 손해다?”
토종 1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오른 티빙이 잇따른 흥행작에도 불구하고 올해 800억원대의 적자를 낼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5년째 적자 행진이다.
오리지널 ‘이재, 곧 죽습니다’, ‘피라미드 게임’, ‘환승연애3’를 비롯해 모회사인 CJ ENM과 공동 선보인 ‘내 남편과 결혼해줘’, ‘눈물의 여왕’ 이 잇따라 대박을 냈지만 올해에도 적자에서 벗어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흥행 콘텐츠에도 불구하고 비싸진 연예인 출연료로 인한 제작비를 감당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티빙이 올해 영업손실 800억원 안팎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티빙의 2023년 영업손실은 1420억원이었다. 광고 요금제 도입과 프로야구 유료화로 적자폭이 줄어드는게 그나마 위안이다.
티빙은 4년 연속 적자를 냈고, 지난해는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로 충격을 줬다. 올 1분기에도 38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제작 비용이 너무 올라 시청률이 잘나와도 손해를 보는 구조다. 지난달 종영한 CJ ENM tvN과 티빙이 공동으로 선보인 ‘눈물의 여왕’ 은 16부작에 총 560억원, 회당 35억원 정도의 제작비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적자가 쌓여, 티빙 혼자 감당하기 힘든 제작비다. 결국 CJ ENM과 공동으로 선보여, 기대만큼 큰 효과를 보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OTT 업계 관계자는 “요즘 톱스타의 경우 회당 몇억원의 출연료를 줘야 해 시청률이 잘 나와도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티빙은 올해 구독료 20% 인상, 광고 요금제 도입, 프로야구 유료화를 통해 적자 줄이기에 나섰다.
티빙은 연간 400억원(3년 1200억원)을 주고 프로야구 중계권을 따냈다. 하지만 프로야구 유료화 이후 이용자가 줄고 있어, 연간 400억원 이상의 효과를 볼지는 미지수다.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https://naver.me/F40hUqyO
- +2 11.01 1 트럼프 "내 무궁화훈장 어딨냐" 5분마다 위치 확인
- +2 11.01 2 유독, 경주 관광지에 기와 올린 건물들이 많은 이유
- +2 11.01 3 친구가 갑자기 전화로 내 연봉을 물었다
- +1 11.01 4 올해 93세 이길여 총장 이번달 골프스윙 영상
- +1 11.01 5 30대 통풍환자의 발 상태
- +1 11.01 6 에드워드 리가 특별히 APEC에서 선보인 요리 메뉴
- +1 11.01 7 한국 교통문화에 충격받은 일본사람
- +1 11.01 8 일본에서 현재 중국혐오가 극에 달한 이유
- +1 11.01 9 5개월 된 아기 데리고 장시간 비행기를 탔는데
- +1 11.01 10 젠슨황 한국 마지막 식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