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중에 매우 특이해서 연구하기 어려운 분류군

원생생물 (Protist)
짚신벌레, 아메바, 유글레나, 미역, 다시마, 파래, 돌말, 반달말, 플라스모듐(말라리아원충), 깃편모충(Choanoflagellatea)
생물 분류군은 원핵생물안에서 진정세균(박테리아), 고세균(아르케아)
진핵생물안에서 동물, 식물, 균류, 그리고 원생생물임
동물 : 세포벽없음, 운동성 있음
식물 : 세포벽 셀룰로스, 광합성
균류 : 포자를 이용한 무성생식, 다른 동/식물에 기생
원생생물은 매우 다양하고 일반화 되어있지 않음
얘네들은 세포벽이 셀룰로스 (식물처럼)도 있고, 세포벽 없는 애들(동물처럼)있고, 키틴(균류) 있는 애들도 있음. 식물, 균류에 없는 성분 세포벽 있는애들도 있음.
미역, 다시마는 엽록소 c 로 광합성 함 (식물은 대부분 엽록소 a다.)
파래는 엽록소 b 로 광합성 함
유글레나는 엽록소 b가 있고 동물처럼 운동성을 지니며, 엽록체 막이 3개임. (식물은 엽록체 막이 2개임)
아메바는 사람보다 유전체 염기수가 많음 (사람은 30억, 아메바는 3000억)
플라스모듐(말라리아원충)은 균류처럼 포자가 있음
깃편모충류(Choanoflagellatea)는 바이러스, 박테리아에 감염되지 않고 잡아먹음 (세균까지 감염시키는 바이러스한테 당하지않고 역으로 잡아먹는거 연구중이라고 함)
돌말 같은 규조류는 세포벽이 실리카로 구성되어 있음 (이것은 균류, 식물의 세포벽과는 아예 다름)
각각을 동물, 식물, 균류 안에 넣을려고 했는데, 넣기엔 특징이 다양하고
또 원생생물로 따로 분류하기에도 너무 다양함.
그래서 교과서를 보면, 원생생물을 따로 분류하기도 하고, 동물, 식물, 균류안에 넣진 않고 그냥 각각 하나하나 따로따로 진화과정 계통도 그려서 억지로 임시로 넣음
심지어 바이러스보다도 까다로움. 바이러스는 세포 흔적이 있었던 거대 바이러스들이 계속 발견되면서 세포탈출설 이론이 지지받고 계통도도 만들려고 시도중임
- +6 10.21 1 내 차 옆에 주차하는 여직원 호감 표현일까?
- +6 10.20 2 내 직업은 결정사 가입이 안된다
- +5 10.19 3 [주의] 충격적인 공중화장실 중국 여성 납치 장면
- +4 10.22 4 한국전력 미쳐버린 근황 ㄷㄷ
- +4 10.19 5 중국 공학자가 자전거 타다 넘어져서 만든 자전거 ㄷㄷ
- +4 10.23 6 31살 여친이 성경험으로 거쳐간 남자만 5명
- +4 10.19 7 변태력이 넘쳐 흐르는 성진국의 메이드 카페 츤데레 체험
- +4 10.21 8 여자들의 오X 품앗이.mp4
- +4 10.19 9 라노벨 주인공이 실존했다고 믿었던 기독교인들
- +3 10.24 10 남편의 외도 의심을 의뢰 받은 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