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늪지대에서 발견된 4만년 전의 나무
![]()
늪지대 깊은 곳에 파묻혀있던 약 4만년 전의 고대 카우리 나무
즉, 리버스 워해머 나무입니다.
4만년에서 5만년 전 빙하기 끝자락에 늪지 진흙과 이탄층 속에 파묻혀 보존되어있었습니다.
이 거목이 중요한 이유는 나무의 나이테에 약 42,000년 전 자기장의 일시적 역전 현상인 라샹 지자기 이탈(Laschamp Excursion) 때 대기의 방사성 탄소 수치 변화가 기록되어있다는 것이죠
역전 직전 지구 자기장은 0~6% 수준(그러니까 때에 따라선 거의 0이나 다름없을 정도까지)으로 약화됐습니다.
이는 지구 보호막의 소실로 인해 오존층이 극심하게 파괴되고 기상 패턴이 급변했으며 생태계에 거대한 대멸종을 야기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현상이기도 합니다.
호주 일부 지역은 이 때의 영향으로 사막으로 변했습니다.
발견된 카오리 나무는 그 당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었죠.
학자들에게는 말 그대로 4만년을 넘어 전달된 타임캡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라샹 현상은 애덤스 이벤트라고도 불리는데 딱 "42"000년 전에 벌어진 일이라 42가 나오는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의 작가 더글라스 애덤스에게 경의를 표하는 뜻에서 붙은 별칭이라고 합니다.
0 Comments
/var/www/issuya.com/skin/board/issuya/view/tto_basic
지금 뜨고있는 이슈
13
8122
1
7484
3
6617
6
5265
2
3865
1
3736
0
3533
1
3247
1
2991
1
2973
1
2771
0
2480
1
2339
0
2288
0
2155
0
1837
0
1687
0
1368
Today
pick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hit
[rank] => black
[term] => day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date] => 1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comment
[rank] => black
[term] => week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 +7 11.23 1 못생긴 능력남 다시는 안사귀는 이유
- +5 11.22 2 주차장 사고 레전드 나옴
- +5 11.22 3 중국에서 성형 얼굴 외모로 가장 유행중인 얼굴
- +5 11.24 4 한국인들은 잘 모르는 일본의 난방 기구
- +4 11.22 5 요즘 절에 보급되고 있다는 기계
- +4 11.23 6 요즘 롱패딩 입고 다니면 듣는 말
- +4 11.24 7 반박불가 한국 화폐 최대 의문점
- +4 11.23 8 요즘 구치소 식단표
- +4 11.23 9 정말 사랑했는데 결혼 후 욕하며 이혼하게 된 이유
- +3 11.22 10 북한 신도시 맥주집 근황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1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color
[sort] =>
[rank] => darkred
[term] =>
[dayterm] => 3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