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줘라' '안 된다' 길고양이 '주민 갈등'

'밥 줘라' '안 된다' 길고양이 '주민 갈등'

1 2719 2 저주디스

 

 

 

 

 

 

 

 

 

 

https://youtu.be/4fB4v6bOiVY

 

 

 

제주시내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난간 너머 계단 아래에 길고양이 보금자리가 마련돼있습니다.

돌과 비닐 천이 어지럽게 널린 사이로 새끼 고양이 한 마리가 눈에 띕니다.

7년 전쯤 입주민이 길고양이 보호를 위해 만든 보금자리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밥을 주는 이른바 '캣맘'들이 많아지면서 고양이가 10마리 이상으로 늘었고, 여기저기서 불평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캣맘 행위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심각합니다.

특히 먹이주기 금지 의결이 가능한 아파트 단지를 위주로 주민과 캣맘, 동물단체의 강대강 대결이 잦죠.

얼마 전 강남 아파트 단지의 사례가 기사화되고 화제가 된 데에 이어 이번엔 제주도 사례가 공중파 뉴스로 나왔네요.

 

고양이는 활동반경이 수백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육식 영역동물입니다.

정상적인 서식말도는 평방 킬로미터당 많아야 한 두마리라고니 하니,

대도시 행정동 하나에 두세마리 정도가 적당한데 아파트 단지 하나에 10마리가 넘는 것 자체가 비정상입니다.

당연히 주민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고, 인근 생태계에도 문제인데다 고양이들 역시 과밀화되어 비정상적인 생태로 살아가는 거죠.

 

 

 

 

 

[아파트 입주민(음성변조)]
"여름에는 음식물 썩는 냄새도 나고, 그걸 보고 이제 애들이 여기 와가지고 하니까 요즘에 진드기니 뭐니 그런 걱정들도 많잖아요."
 

 

제주도에서는 올해 길고양이를 만지고 살인진드기에 물려 중증혈소판감후증후군(SFTS)로 며칠만에 사망하기도 했죠.

(일본에서는 이미 몇년 전부터 있는 사례입니다. 이쪽은 심지어 진드기 매개 없이 길고양이로부터 직접 감염되어 사망..)

그 외에도 다수의 치명적인 인수공통감염병을 전파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공중보건 문제 외에도 사료 등 쓰레기, 분변, 소음 문제 등 주민 불편이 이만 저만이 아니라서,

대체로 입대의에서 먹이주기를 금지하고 위반금을 부과하는 식으로 많이 처리합니다.

 

 

 

 

 

이 단계에서 내, 외부의 캣맘, 동물단체들이 개입해서 주민들을 혐오자, 학대자라며 반발하고 

집단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상 털기, 조리 돌림 등 주민들을 향한 조직적인 범죄 행위를 자행하는 경우도 흔하죠.

 

 

먹이를 주지 말라는 걸 혐오, 학대라고 하는 신기한 논리는 어디서나 볼 수 있네요.

무책임하게 밥줘서 개체수 불리는 걸 ‘공존’이라고 포장하는 것도요. 

이런 건 공존이 아닙니다. 무단 방목 밀집 사육행위라는 표현이 정확하겠죠.

그냥 길거리에 번식장을 차려 놓은 것과 별반 다를 것 없습니다.

 

 

 

 

 

 

하지만 먹이를 주는 행동이 결코 고양이를 위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쉽게 배를 채우는 고양이들은 생식 능력이 활발해져 그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소음 등 고양이에 따른 사람들의 피해가 계속되고 고양이들의 먹이 부족 현상도 해결되기 어렵다. 여기에 동물 종의 특성상 개체 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전염병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서울시 동물보호과 배진선 주무관(수의사)은 "고양이는 뛰어난 번식력을 갖고 있어 먹이를 쉽게 얻는다면 출산율이 매우 높아진다"며 "개체 수가 많아지면 전염병이 돌아서 새끼가 몰살당할 위험이 커진다. 먹이를 주는 것만으로 고양이의 생활 환경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3074887

차 밑에 있던 고양이, 갑자기 공격 # 대전 대덕구에 사는 30대 여성 이미영씨(가명)는 2주 전에 겪은 일만 생각하면 아직도 심장이 쿵쾅거린다... from KBS 뉴스

 

 

 

심 박사는 먹이 급여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밝혔다. 그는 “수의학적 측면에서는 먹이 급여대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질병이나 바이러스 등 오염도가 높아지고, 고양이 간 감염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동물 행동학적으로 보면 일부 구역에 있는 먹이를 쟁탈하기 위해 급여대 인근에 세력권이 형성되고 세력권이 중첩되면서 고양이 개체군 내에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또 특정 시점에 먹이를 주는 사람에게 사정이 생겨 공급이 중단된다면 해당 개체군은 전멸하고 일부만 살아남을 것이다. 스스로 생존할 가능성을 박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069

마라도 고양이 과밀화 해결, TNR만으론 부족하다면 [뉴스펭귄 임병선 기자] 미국 조류보호단체 ‘아메리칸 버드 컨저번시(American Bird Conservancy)’는 야생 고양이가 일으키는 생태계 위해 문제를 ‘사람이 촉발한 문제’로 분류한다.새나 여타 생물의 멸종 문제가 고양이 때문만은 아니지만, 인간이 사랑해 마지않아 증식시킨 by 임병선 기자 from 뉴스펭귄

 

 

 

Similarly, there are compulsive feeders who take 25 pound bags of cat food and drive around their city, furtively dumping mounds of chow behind dumpsters, at abandoned houses, and in dark alleys. They insist, like the pigeon feeders and the hoarders, that they are acting kindly. But their feeding habit is actually resulting in larger feral litters of homeless kittens, thereby exacerbating the suffering. I’ve had these feeders scream at me that they can’t afford a $10 spay or neuter surgery because they spend hundreds of dollars a week on food! 


마찬가지로, 25파운드의 고양이 사료 봉지를 들고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몰래 쓰레기 수거통 뒤, 버려진 집, 어두운 골목에 먹이 더미를 버리는 강박적인 급식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비둘기 모이꾼이나 호더들처럼 자신들이 친절하게 행동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그들의 먹이 습관은 실제로 노숙자 새끼 고양이의 더 큰 야생 새끼를 낳고, 그로 인해 고통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나는 이 피더들이 일주일에 수백 달러를 음식에 소비하기 때문에 10달러의 중성화 수술을 감당할 수 없다고 비명을 지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https://www.peta.org/living/humane-home/compulsive-feeders-helping-hurts-cats-pigeons/

Compulsive Feeders: When 'Helping' Hurts Cats and Pigeons | PETA Pigeons and feral cats are the victims of people who share many of the sam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hoarders. from PETA

 

 

 

 

사실 그들의 행위야말로 고양이를 괴롭히는 것, 나아가 학대라고 보는 전문가, 동물단체들이 많습니다.

 

 

 

 

 

 

 

 

 

제주에는 길고양이 보호 등에 대한 관련 조례나 정책이 없어 주민 갈등이 생겨도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는 상황.   

 

길고양이 보호를 위한 조례라고는 하지만, 

이 시점에서 필요한 건 천안시 길고양이 보호 조례같이 길고양이 보호를 내세우며 실제로는 캣맘 행위를 보장하는 조례가 아닙니다.

 

독일의 고양이 보호 조례(Katzenschutzverordnung) 에는 실외 사육과 함께 캣맘 행위를 규제하고 처벌하는 조항이 들어있습니다.

일본의 지역고양이 활동은 지자체 캣맘 지원 사업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강력한 캣맘 규제책이며,

이는 민폐성 급여행위를 벌금 50만엔까지 처벌하는 동물애호법 조항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것이죠.

고양이를 종교적으로 우대하는 두바이에서조차 길고양이에게 밥주면 벌금먹습니다.

 

무책임하게 밥을 주는 행위는 결코 고양이를 위한 게 아니며,

진짜 고양이 보호와 생태계 보전,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서라면 

이렇게 말도안되게 만연해있는 무단 방목 행위를 규제하는 게 우선되어야 합니다.

 

 

 

 

 

결국 관리사무소는 다음 달 입주자 대표회의를 열어 고양이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이따끔 입니다.  

 

 

신고


1 Comments
로그  
지세들
집에들여서 키우라해 그건또 안할거면서......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