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에 분노한 2030세대, 역사를 다시 봄

영화 ‘서울의 봄’에 분노한 2030세대, 역사를 다시 봄

9 9553 10 너무추웡

“독재의 역사 반복하지 말자”
부산대·부경대 과거사 대자보
관객 절반 이상이 2030세대
‘심박수 챌린지’로 분노 표출
실제 모델 다룬 책 인기 역주행
‘일해공원’ 명칭 개정 논란도




1000만 관객을 앞둔 영화 ‘서울의 봄’이 젊은 세대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부산 대학가에는 수개월 만에 대자보가 붙었고, 전두환 씨 고향인 합천에서는 그의 호를 딴 공원 이름을 바꾸자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신군부가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지 44년째 되는 날인 지난 12일. 부산대학교에 독재의 역사를 반복하지 말자는 취지의 학생 대자보가 등장했다. 대자보에는 ‘영화 서울의 봄을 보며 답답함을 느꼈다’며 ‘문득 영화의 시간에서부터 벌써 40년이 넘은 지금 우리 사회는 얼마나 바뀌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 내용이 담겼다. 같은 날 부경대학교에도 대자보가 붙었다. 대자보에는 ‘우리는 그날의 역사를 성공한 혁명, 승리의 역사로 보지 않는다’며 당시 상황을 평가했다. 이 대자보는 학생과에 인허가 도장을 받지 않고 게시됐다는 이유로 철거됐다.

영화 ‘서울의 봄’은 젊은 세대에 특히 인기가 높다. CGV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서울의 봄’ 관객 중 20대가 26%, 30대가 30%로 20·30대 관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12 군사 반란과 영화 속 캐릭터가 비교적 익숙한 세대인 40대(23%), 50대(17%)보다 높다.

[후략]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246540?sid=102

신고

  Comment

BEST 1 sddkkdk  
그시대 살지도 않은 사람들이 선전영화로 선동되는 꼴이 ㅋㅋㅋ


9 Comments
태봉  
그러니깐 투표 잘하면 됨
뀨뀨꺄꺙  
마지막 부산대...보고 끄덕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 10년전에도 저런애들 엄청 많았음
철권흑곰  
뭐 젊은 혈기로 저런 거 써보는 것도 좋고
서울의 봄의 모순은 현재진행형. 사회 나와보면 다 알게 됨.
역시 대학생들이 뭔가 바꿔보려는 노력을 좀 하려나.
요즘 애들 다 소극적인데 저런 거라도 하는 애 있어서 다행
오늘하루  
살아보 지 않았던 역사라
영화로라도 접해보면서 과거를 알아보는 계기가 된다면
세상살이에 관심없는 젊은 세대에게 괜찮은 영향력이라 생각합니다
보수.진보를 떠나서 그런 시간이 있었다는걸 알게 되는 기회인거죠
봄날  
[@오늘하루]
역사를 픽션이 가미된 영화로만 배우는게 문제.
당연히 왜곡된 시선으로만 보게 될 수 밖에 없음.
서울의 봄에도 사실과 아예 다른 장면이 꽤 많이 나오는데...
그래서, 감독도 제작사도 전대갈이 뒤진 다음에나 개봉한건데.
역사에 대한 분노를 영화 감상문으로만 하는
요즘 세태가 그리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봄.
글쎄……  
[@봄날]
글쎄……  
대자보 내용 참 어질어질 하다. 독재가 뭔지도 모르는 애색히가 잘난 척은 하고 싶고. 저런 것도 후배라고 내가 다 쪽팔린다. 사진 잘 찍어 놨다가 10년 뒤에 읽어보고 이불킥 열심히 해라 이놈아.
sddkkdk  
그시대 살지도 않은 사람들이 선전영화로 선동되는 꼴이 ㅋㅋㅋ
오얏리  
하나회 = 검찰들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