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리’ 듣기만 해도 신경질 난다면… 혹시 ‘청각과민증’?

‘이 소리’ 듣기만 해도 신경질 난다면… 혹시 ‘청각과민증’?

6 5923 6 xxxtentacion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청각이 예민한 사람들은 일상적인 소리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곤 한다. ‘째깍째깍’ 시계 초침 소리, ‘또각또각’ 구두 소리, ‘쩝쩝’ 음식 씹는 소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소리를 들었을 때 예민한 정도를 넘어 신경질적으로 화를 내거나 땀을 흘리고 심장이 빨리 뛰는 등 신체 증상을 보인다면 ‘청각과민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청각과민증은 일상적인 소리 자극을 견디지 못하는 증상을 뜻한다. 보통 9~13살에 증상이 나타나, 나이가 들수록 심해진다. 소리에 예민할 뿐 청력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소리가 청신경으로 전달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심한 스트레스, 예민한 성격, 소리를 막는 근육의 손상 등을 원인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청각과민증이 있으면 대부분 사람이 불편해하지 않는 소리를 소음으로 받아들인다. ▲걸을 때 나는 소리 ▲음식 씹는 소리 ▲목 가다듬는 소리 ▲자판 두들기는 소리 ▲에어컨·냉장고 소리 등이다. 이런 소리들이 심하게 거슬려 스트레스를 받거나, 분노·불안·혐오감 등을 느낀다. 심한 경우 식은땀을 흘리고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등 자율신경계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작은 소음에도 예민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거나 잠을 자는 데 어려움을 겪을 이들도 있다.

반복되는 소리에 노출돼보면 청각과민증이 있는지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소리들을 일부러 들어보는 것이다. 청각과민증이 있는 사람은 소리를 감지하는 기능이 발달해, 특정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었을 때 적응하지 못하고 계속 반응을 보인다.

아직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건강한 소리를 자주 듣는 것만으로 완화될 수 있다. 산책하면서 자연의 소리를 듣거나 클래식 음악을 듣는 식이다. 감정적으로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건강한 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을 정도로 증상이 심한 경우엔 병원 치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병원에서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훈련치료나 약물치료를 진행한다. 대표적 훈련치료로는 ‘민감 소실요법’이 있다. 예민하게 반응하는 소리에 더 자주 노출됨으로써 청신경을 소리에 적응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질환에 의해 청각이 예민해진 것으로 확인됐을 때는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다.

http://n.news.naver.com/article/346/0000068718

신고

  Comment

BEST 1 야봉  
윗집 층간소음


6 Comments
뇌세척  
신음소리...
글쎄……  
민감 소실요법 ㅋ 짜증나 죽을 때까지 들어라
아나킨  
딴건 몰라도 쩝쩝충 제발 주디좀 다물고 씹어라

럭키 149 포인트!

야봉  
윗집 층간소음
고토리  
시계소리가 너무싫음...
 
요즘 냉장고 소리가 좀 거슬리던데..흠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