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기본 사진 앱에서 한복 사진을 '기모노'로 분류하고 있었다

아이폰 기본 사진 앱에서 한복 사진을 '기모노'로 분류하고 있었다

0 6082 0 토낏

  • • 한복문화활동가 권미루 씨가 SNS로 알린 내용

  • • 구글 포토도 비슷한 상황…기계학습 활용한 AI의 한계
애플 아이폰에 탑재된 iOS 기본 사진 앱에서 한복 사진들이 일본 전통 의상인 '기모노'로 분류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지난 14일 한복문화활동가 권미루 씨는 인스타그램에서 이같은 사실은 전했다. 권 씨는 비영리단체 한복여행가 카페에 올라온 글이라며 관련 사례들을 전했다.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한복을 기모노로 인식하는 폰 어플?? 오늘 아침 비영리단체 한복여행가 카페에 올라온 글입니다. 1. 아이폰 사용자이신 왕사탕님께서 올려주신 내용입니다. "한복입은 사진이 보고 싶어 아이폰 사진앱에 한복으로 검색했더니 사진이 하나도 없네요?" 혹시나 해서 검색어를 바꾸었더니 한복 사진이 나옵니다. 검색어는 다름 아닌 '기모노'입니다. 단원님들의 제보는 계속 이어졌습니다. 2. 기분이 상해서 애플에 피드백을 보내고 싶었다는 야스리님 @ya_sri0928 3. 파일명 중 한복이라 적은 것은 결과에 나옴, 나머지는 기모노, 한복 섞어서 검색됩니다. 연배님 @noeyag_b 4. 치파오 한푸 아오자이 한복 전부 인식 못하고 기모노라는 검색어만 인식해요. 대표적인 아시아 문화로 일본만 딱 인식한다는게 너무 속상하네요ㅠㅠ 영현님 @hanbok_travelarts 5. 근데 이거 굉장히 오래된 현상(?)입니다. 오군님 @ohgoon_mark1 6. 내 사진을 왜 지 멋대로 기모노라고 하지... 애플....!! 상수님 @playbird + 은빈님 @eunbin294 서로님 @hanbok_girl 자료제공에 협조해주신 한복여행가 @hanboktraveler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우리 단체는 한복을 입고 사진만 찍으려 놀러다니는 단체가 아니라 전통, 문화, 한복 세 가지의 접점을 찾고 전통의 가치를 되살려 단원 모두가 문화기획을 합니다. 한달에 적어도 세 번 이상 '전통한복'을 입고 모임이나 행사에 참여를 하며 지금 우리가 향유할 수 있는 우리의 문화를 되새기고 지금의 방식으로 이어나가려 노력합니다. 알파고와 인간의 바둑시합이 세기의 대결로 이해되고 있는 이 시대에 한복과 기모노를 구분하지 못하는 ai알고리즘이라니요. 애플 사진앱의 경우, 많은 이미지를 모두 모은 결과에서 그것이 한복이든, 아오자이든 기모노든 모두 한데 묶어 '기모노'라는 단어로만 인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복을 기모노라고 학습시킨 결과이지요. 이 ai는 기모노밖에 모르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애플에서만 벌어지는 상황은 아니었어요. 구글 포토에서도 비슷한 결과값이 나옵니다. 우리들이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ai가 한복과 기모노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수없이 모이는 많은 사진들 중 한복과 기모노를 구분하여 학습시켜야 하는 시간은 짧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로서 우리는 '한복은 한복이라는 것'을 계속 피드백하고 리포트 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리포트 하지 않으면 영원히 한복은 기모노로 검색될 것입니다. 한복이 한복으로 올바르게 검색될 때까지 우리의 리포트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의 폰 기기 사진/갤러리에서 '한복'을 검색해 캡쳐화면을 올려주세요. #한복은한복이다 #hanbokishanbok 태그로 동참해주세요! . . . . #애플기모노 #한복은한복이다 #애플검색오류 #사진검색오류 #알고리즘오류 #빅데이터 #딥러닝오류 #ai리포트 #ai오류리포트 #hanbokishanbok #애플 #애플포토 #apple #error #bigdata #algorithm #deeplearning #hanbok #koreahanbok 애플 @apple 애플코리아 @apple.korea 구글 @google @googlecloud

한복문화활동가 권미루(@hanbokmiru)님의 공유 게시물님,


권 씨가 전한 바에 따르면 한 활동가가 아이폰 사진 앱에서 한복 사진을 찾기 위해 '한복'을 검색한 결과, 사진이 한 장 나오지 않았다. 검색어를 '기모노'로 바꾸자 그제야 한복 사진이 나왔다. 다른 활동가들도 비슷한 증언을 내놓았다. 


애플은 iOS 사진 앱에서 기계학습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동으로 피사체 종류를 구분해 사진들을 분류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애플이 의도적으로 한복을 기모노로 분류해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한계에 의한 오류로 보인다. 

한복뿐만 아니라 베트남 아오자이, 중국 치파오 등도 기모노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의 문화적 영향력이 크다 보니 '기모노'가 마치 아시아 전통 의복의 대명사처럼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기계학습을 활용한 인공지능이 현실 세계의 편견도 그대로 학습하는 사례는 흔하다. 지난해 10월 아마존이 개발 중이던 인공지능 채용 프로그램이 여성 지원자를 차별하는 것으로 드러난 사례가 대표적이다. 아마존은 결국 프로그램 도입을 취소했다. 

지난해 2월 MIT 미디어랩 연구에 따르면 인공지능에 의한 얼굴인식도 백인일 경우 99%의 정확성을 보였지만 피부색이 어두운 흑인 여성일 경우 에러 발생률이 최고 35%까지 올라갔다.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 대부분이 백인 남성 데이터였기 때문이다. 

권 씨는 "알파고와 인간의 바둑시합이 세기의 대결로 이해되고 있는 이 시대에 한복과 기모노를 구분하지 못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말이 되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구글 포토에서도 비슷한 결과값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권 씨는 "AI가 한복과 기모노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우리는 '한복은 한복이라는 것'을 계속 피드백하고 리포트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 , , , ,

신고


0 Comments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