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총 공이가 부러졌습니다” 북한군 총격에도 우린 바로 쏘지 못했다

“기관총 공이가 부러졌습니다” 북한군 총격에도 우린 바로 쏘지 못했다

0 3337 0 슈나이져

-북한군 GP 총격사건 검증 결과 발표


-우리 군 GP K-6 원격사격체계 고장


지난 3일 북한군의 비무장지대(DMZ) 내 GP(감시초소) 총격 사건 당시 우리 군은 K-6 기관총으로 첫 대응 사격을 시도했으나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총성과 충격음을 청취한 지 32분 만에 '뒤늦게' 첫 사격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군 당국은 K-6 원격사격체계가 고장 난 것에 대해 기관총의 '공이(뇌관을 쳐서 폭발토록 하는 쇠막대)'가 파열된 것을 확인했다. 이를 두고 GP에서 매일 한차례 점검을 해야 하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비무장지대 GP / 이하 연합뉴스


13일 합동참모본부 검증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일 오전 7시 41분쯤 우리 군 GP 근무자들이 GP 외벽에 섬광과 충격음 발생을 청취한 후 상급자에게 보고했다. GP장이 즉각 비상벨을 눌렀고 오전 7시 45분 GP 근무자 전원이 전투준비태세에 돌입했다.


당시 GP장은 GP 우측에 있는 북한군 GP에서 총탄이 발사된 것으로 판단했다. 오전 7시 56분 GOP(일반전초) 대대장이 북한군 GP에 사격을 지시했다. 그는 전날 오후 4시에 퇴근해 당일 오전 출근하던 차량에서 보고를 받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전 8시 1분부터 3분까지 GP장 통제하에 K-6 기관총 원격사격체계로 타격을 시도했으나 이 체계의 기능 고장으로 불발됐다. 원격사격체계는 피격을 막고자 지휘통제실에서 원격으로 사격하는 시스템이다.


오전 8시 13분 화상 시스템으로 이 과정을 지켜보던 연대장이 K-3 기관총 사격을 지시했다. GP에서 K-3를 이용해 북한군 GP 하단부를 향해 15발을 발사했다. 고장으로 대대장 지시 후 17분가량 지체됐다. 이는 총알에 맞은 흔적 3개를 발견한 지 22분 만이고 처음 충격음과 총성을 청취한 지 32분 만의 대응이다.


오전 8시 18분 사단장이 북한군 고사총과 유사 기종의 K-6(12.7㎜) 수동 사격을 지시했고 북한군 GP 상단부인 감시소를 향해 15발로 2차 대응 사격했다. 북한군 동일 GP 상·하단부 등 2곳에 두 차례 총 30발을 조준 사격했다. 합참은 "북한군이 우리 GP를 맞췄기 때문에 우리도 조준해서 사격했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이번 총격 사건이 북한군의 우발적인 상황이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서부전선 DMZ 일대 풍경. GP 너머로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보인다


출처 :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32017

, ,

신고


0 Comments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