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압) 척박한 지역 사람들이 살아남는 방법(feat.붉은 소금)
![]()
Free Tibet의 망캉현 옌징. 이곳에는 난창강을 끼고 3개의 마을이 있다.
그런데 협곡 중간에 이상한 구조물들이 보인다.
![]()
사람들은 여기서 뭘하고 있을까?
![]()
바로 소금을 만들고 있다!
민물인 계곡에서 어떻게 소금을 만드는 걸까?
![]()
사람은 소금없이 살수없다. 바다도 멀고, 소금광산도 없는 이 지역으로써는 땡잡은 것이다.
우효www산골마을에 금맥 터졌다제!
이제 이걸로 쉽게 소금만들어서 떼돈 벌수 있을까?
![]()
![]()
![]()
![]()
대개 그렇듯이 이곳도 현실은 시궁창이다.
강물의 범람으로 소금우물이 망쳐질것을 우려해 탑이 있을뿐이지,
현실은 10m이상 가파른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서 나무물통(!)에 소금물을 담아 다시 올라와서
또다시 사진같은 염전에 기어오르다시피 올라가서 소금물을 뿌린다.
저 소금물이 담긴 통은 무게 35kg에 달한다.
![]()
옌징의 나시족 여인들은 하루에도 300~400번씩 이 소금물 붓기를 한다.
![]()
이런 염전에서 만들어진 소금은 흙염전의 색과 섞여 불그스름한 색을 띄기에 홍염이라고 불린다.
![]()
![]()
![]()
어린 여자들도 소금을 나무주걱으로 긁어내고, 소금물에 맨발은 담궈가며 일한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모두가 리얼 페미니스트가 된다. 마치제주의 해녀처럼.
![]()
![]()
![]()
![]()
그녀는 염전 노동 10년차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몸이 좋지 않아 노동은 온전히 그녀의 몫이다.
그럼 대체 남자들은 다 어디있을까?
놀고먹는 티남충 아웃을 외쳐야 할까?
![]()
저런 가파른 길에 소금 짊어진 나귀를 끌고 마을마다소금 팔러가는것은 남자의 일이다.
![]()
![]()
주인공의 약혼자도 그러하다.
이들은 이미 아이도 있지만 금전 문제로 혼인식을 하지 못했다.
보통 여자도 중노동을 하는 문화권에서는 남편이 처가에 막대한 지참금(신부값)을 줘야하기 때문이다.
![]()
![]()
![]()
그러하다.
![]()
![]()
짐승에게 먹이는 소금은 B급이다. A급은 더욱인기가 좋다.
![]()
![]()
![]()
![]()
한편, 주인공의 염전 몇개가 강의 범람으로 망가져 버렸다.
마을 공동노동 이지만 다시 흙을 캐서 짓이겨 염전을 만드는 것도 여자들의 일이다.
![]()
이렇게 돈을 모아 마침내 결혼식을 올리게 되는 그들.
결혼(노동력+1).
![]()
다큐보다가 마트가서 핑크솔트에 급 경의를 표해야 할 것같은 기분을 공유하고 싶어서 올려봄.
출처는 kbs다큐 차마고도 4편.
유투브에서 공짜로 볼수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