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 부부가 이혼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이유


실제 통계상으로도 증명되는데
한국에서 결혼한 부부 중 무자녀 부부의 비율은 10% 정도이지만 전체 이혼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0%가 넘음
결혼기간, 나이 등등의 변수를 생략하고 야매로만 계산하면 무자녀 부부의 이혼율은 유자녀 부부의 이혼율의 5배라는 소리
Comment
5 Comments
결혼하면 처음 몇년은 그냥 너무 좋은데 그 뒤로는 권태기도 오고 친구처럼 동지처럼 지내게 됩니다.
그런데 아기 생기면 아기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그 아이가 주는 퀘스트가 매일같이 색다르게 펼쳐지고, (아이 밥먹이기, 재우기, 병원가서 주사 맞히기, 씻기기, 토하면 이불빨기, 열나면 간호하기 등)
어느샌가 아이가 점점 커가면서 사랑한다 말해주고 소통하고 교감하는 그 기쁨이 있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이가 여러가지 돌발 퀘스트 제공과 사랑의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해줘서 가정을 더 끈끈하게 만들어주는것 같아요.
그런데 아기 생기면 아기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그 아이가 주는 퀘스트가 매일같이 색다르게 펼쳐지고, (아이 밥먹이기, 재우기, 병원가서 주사 맞히기, 씻기기, 토하면 이불빨기, 열나면 간호하기 등)
어느샌가 아이가 점점 커가면서 사랑한다 말해주고 소통하고 교감하는 그 기쁨이 있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이가 여러가지 돌발 퀘스트 제공과 사랑의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해줘서 가정을 더 끈끈하게 만들어주는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