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 부부가 이혼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이유 

무자녀 부부가 이혼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이유 





실제 통계상으로도 증명되는데

 

한국에서 결혼한 부부 중 무자녀 부부의 비율은 10% 정도이지만 전체 이혼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0%가 넘음

 

결혼기간, 나이 등등의 변수를 생략하고 야매로만 계산하면 무자녀 부부의 이혼율은 유자녀 부부의 이혼율의 5배라는 소리



신고
SNS 공유하기

  Comment

BEST 1 치즈치즈  
결혼하면 처음 몇년은 그냥 너무 좋은데 그 뒤로는 권태기도 오고 친구처럼 동지처럼 지내게 됩니다.
그런데 아기 생기면  아기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그 아이가 주는 퀘스트가 매일같이 색다르게 펼쳐지고, (아이 밥먹이기, 재우기, 병원가서 주사 맞히기, 씻기기, 토하면 이불빨기, 열나면 간호하기 등)
어느샌가 아이가 점점 커가면서 사랑한다 말해주고 소통하고 교감하는 그 기쁨이 있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이가 여러가지 돌발 퀘스트 제공과 사랑의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해줘서 가정을 더 끈끈하게 만들어주는것 같아요.


5 Comments
경리수민 2025-08-23  
몇년 같이 살다보면 부부로서의 애정은 점점 없어지고 애때문에 사는 부부들이 많은데 그 애가 없다면... 애 없이ㅇ부부관계 오래 유지하는게 더 신기함
치즈피자 2025-08-21  
인간은 생물학적으로만 따를수가 없다. 고지능자 일수록 욕구가 든다고 싸지르지 않음. 물론 욕구를 참는건 인간도 동물이기 때문에 고통이긴함
웅남쿤 2025-08-21  
여성의 생물학적 완성은 임신-출산
가족의 사회적 완성은 후손임

아무리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인정해도
가족, 가정은 번식과 번영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적 단위임.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가족형태는 쉽게 와해될 수 밖에 없음
치즈치즈 2025-08-21  
결혼하면 처음 몇년은 그냥 너무 좋은데 그 뒤로는 권태기도 오고 친구처럼 동지처럼 지내게 됩니다.
그런데 아기 생기면  아기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그 아이가 주는 퀘스트가 매일같이 색다르게 펼쳐지고, (아이 밥먹이기, 재우기, 병원가서 주사 맞히기, 씻기기, 토하면 이불빨기, 열나면 간호하기 등)
어느샌가 아이가 점점 커가면서 사랑한다 말해주고 소통하고 교감하는 그 기쁨이 있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이가 여러가지 돌발 퀘스트 제공과 사랑의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해줘서 가정을 더 끈끈하게 만들어주는것 같아요.
원스 2025-08-25  
조금더 크면 말대답도 잘하고 말도 드럽게 안듣고 고집부리고 하죠...
이걸 한대 때려 말어...후...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